금은 혼란스러운 경제 상황 속에서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힙니다. 지금 금시세와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며, ETF, KRX 금 거래소, 골드뱅킹 등 다양한 투자 옵션을 소개합니다.
1. 지금 금시세 얼마?
현재 금시세는 국제 시장 및 국내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. 아래는 2024년 12월 25일 기준 금시세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
국내 금시세 (한국거래소 기준)
- 현재 금시세: 123,890원 (전일 대비 440원 상승)
- 1년 최고가: 132,970원
- 1년 최저가: 85,630원
- 3.75g 기준 가격: 46만 4,588원
세부 시세 (순금 및 기타 금속)
금속 종류 | 구매 가격 (VAT 포함) | 판매 가격 (금방 기준) | 특징 |
순금 (24K) | 524,000원 | 455,000원 | 가장 순도가 높은 금 |
18K | 제품 시세 적용 | 334,500원 | 주얼리 제작에 사용 |
14K | 제품 시세 적용 | 259,400원 | 상대적으로 저렴한 금 |
백금 | 194,000원 | 157,000원 | 산업용으로도 활용 |
은 | 6,130원 | 4,880원 | 소량 투자 가능 |
국제 금시세
- 현재 국제 금시세: 2,635.5달러
- 미국 환전 고시환율: 1,459.20원
- 달러/엔 환율: 157.27엔
위 데이터를 참고해 국내외 금 가격의 차이를 비교하고, 투자 시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세요.
2. 다양한 금 투자 방법 알아보기
금 투자는 현물, 금융 상품, 파생상품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 아래는 주요 투자 방법 5가지를 소개합니다.
(1) 금 ETF (상장지수펀드)
- 금 ETF는 금 가격 변동을 추종하는 펀드로, 안전자산 투자에 적합합니다.
- 장점: 세금 부담이 적고 보관 문제 해결
- 우리나라 주요 금 ETF 상품은 거래소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(2) KRX 금 거래소
- 한국거래소(KRX)를 통해 금 거래가 가능합니다.
- 주요 조건:
- 순도 99.99%, 중량 1kg 또는 100g
- 금지금 제련업자명, 상표명, 순도, 중량, 제조번호 각인 필요
- 금괴나 골드바 형태의 거래가 가능하며,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제공합니다.
(3) 골드뱅킹과 골드바
- 골드뱅킹: 은행에서 운영하는 금 관련 금융 상품. 계좌로 금을 매수하거나 매도 가능.
- 골드바: 실물 금을 직접 구매. 높은 순도를 보장하며, 금방이나 전문 거래소에서 구매 가능.
(4) 금 펀드
-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금 펀드를 통해 간접 투자 가능.
- 장점: 자산 관리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으며, 금 가격 변동에 안정적으로 대응 가능.
(5) 금 DLS (파생결합증권)
- 금 가격을 포함한 다양한 기초자산에 투자하는 상품.
- 리스크는 높지만, 금리나 환율과 연계된 높은 수익 가능성 제공.
3. 금 투자 방법별 비교
투자 방법 | 특징 | 장점 | 단점 |
금 ETF | 금 가격 추종 펀드 | 세금 부담 적음, 간편 투자 | 현물 소유 불가 |
KRX 금 거래소 | 거래소에서 금괴 직접 거래 | 안전한 거래 환경 | 초기 투자 금액 부담 |
골드뱅킹 | 계좌로 금 매매 가능 | 소액 투자 가능 | 수수료 발생 |
골드바 | 실물 금 구매 | 실물 소유로 안전 자산 보유 | 보관 및 도난 위험 |
금 DLS | 파생상품으로 금에 투자 | 높은 수익 가능성 | 높은 리스크 |
자주 묻는 질문 FAQ
Q1. 금 ETF와 KRX 금 거래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A1. 금 ETF는 금 가격을 추종하는 금융 상품으로 세금 부담이 적고 거래가 간편합니다. 반면, KRX 금 거래소는 금괴를 직접 거래하며, 실물 금 소유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
Q2. 골드뱅킹은 어떻게 이용하나요?
A2. 골드뱅킹은 은행에서 개설한 계좌를 통해 금을 매매하는 방식입니다. 소액으로도 시작할 수 있으며, 금 가격 변동에 따라 매수와 매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.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(+배당락일 및 주식배당 기준일) (0) | 2025.01.17 |
---|---|
온누리상품권 사용처 검색 조회 방법 과 모바일 사용처 총정리 (1) | 2025.01.15 |
2025년 기준중위소득 뜻 50% 100% 150% 표정리 (0) | 2025.01.14 |
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방법 과 조건, 자격상실 기준 총정리 (0) | 2025.01.13 |
공동인증서 모바일 온라인 발급 방법(+카카오 네이버 인증서) (0) | 2025.01.12 |